
[ A 복지관의 방과 후 공부방을 이용하고 있는 민수(12)는 학대 가정의 아동이다. 민수는 막노동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아버지에게 학대를 당하고 있으며 가사보조원으로 일하는 민수의 어머니도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알게 된 사회복지사는 가정폭력 방지법에 의거해 아버지를 고발 조치하고 싶지만 어머니는 이를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어머니는 가정이 해체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가정폭력에 대한 고발의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과 클라이언트인 어머니의 자기결정권 사이에서 사회복지사는 이 사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내가 사회복지사라면 윤리원칙의 상위 순위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생명보호의 원칙을 선택할 것이다. 사람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 모든 다른 것에 우선을 한다는 원칙인데, 현재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보면 가정폭력을 당하고 있기 때문에 자칫하면 생명에 지장이 되는 일도 발생할 가능성이 아주 크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무작정 이 원칙을 실현시키기 전에 클라이언트의 자...
#가정폭력에대한고발의의무를수행
#클라이언트생명보호의원칙
#학대가정의아동
원문링크 : 가정폭력에 대한 고발의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과 클라이언트인 어머니의 자기결정권 사이에서 사회복지사는 이 사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