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들은 그들끼리만 무리 지어 행동하는 것을 좋아한다. 또 비밀스럽거나 장난스러운 언어로 소통하는 것을 즐긴다.
그런 방식으로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여 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에 미루어 볼 때 그들 간에 통하는 신조어를 만드는 것은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에 기인한 행동적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의 경험을 떠올려 보자, 청소년들끼리 사용하는 단어 및 말투는 수도 없이 많았다. 그리고 그것은 그때마다 우리말 파괴와 기성세대와의 소통 두절이라는 문제를 낳는다는 지적을 면치 못했다.
예를 들면, 과거 유행했던 '도깨비 말'은 어떤가? 이 또한 청소년들끼리의 소통을 위해 그들이 만들어낸 일종의 청소년 문화였다.
그렇다고 신조어의 등장에 찬성하는 입장은 아니다. 단지, 그들의 문화 중 일부분이므로 존중해 줄 필요는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사실 나는 지나친 신조어의 남용은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가뜩이나 세대를 나누는 시대에서 신조어가 세대 간 융합을 방해하는 주...
#급작스런가상세계
#디지털폐인의등장
#신조어발생
#정보화사회에서의청소년과모바일기기확산
원문링크 : 정보화 사회에서의 청소년과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새로운 신조어가 청소년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주고 있다. 미치는 의견을 찬/반대를 선택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