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래 놀이가 활발한 유아반에서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비장애 유아들의 놀이에 장애 유아가 참여하려 할 때 교사가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까?


또래 놀이가 활발한 유아반에서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비장애 유아들의 놀이에 장애 유아가 참여하려 할 때 교사가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까?

개인적인 생각에 모든 상황에 있어서 무조건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오히려 장애가 있는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상황에 대해서 보았을 때, 아예 장애가 있는 아이가 주변의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한다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무조건 개입을 하는 것은 아이의 사회화 과정에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아이들의 입장에서도 역시 이 친구는 도움이 필요한 친구라고 생각하는 편견이 일어날 수 있다.

그렇지만 도움이 없을 때 아예 어울리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한다면 장애 아이는 주눅이 들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기회를 가지지 못함으로 인해서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비장애유아들의놀이에장애유아가참여할때교사가지원...


#비장애유아들의놀이에장애유아가참여할때교사가지원

원문링크 : 또래 놀이가 활발한 유아반에서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비장애 유아들의 놀이에 장애 유아가 참여하려 할 때 교사가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