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 첫 과를 구성할 때 '-입니다/-ㅂ/습니다'를 먼저 제시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이에요,예요/-아, 어요'로 제시하는 것이 좋을까요?


한국어 교재 첫 과를 구성할 때 '-입니다/-ㅂ/습니다'를 먼저 제시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이에요,예요/-아, 어요'로 제시하는 것이 좋을까요?

한국어 교육기관의 일반 목적 교재인 세종 한국어 1과 서울대 한국어 1의 교수요목을 살펴보면 'ㅂ/습니다'보다 '-이에요/에요'가 먼저 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실제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이에요/에요'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ㅂ/습니다'의 경우 회의, 면접, 직장 생활 등과 같은 공적 영역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궁극적 목표가 일상생활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는 만큼 가장 먼저 접하는 문법 항목은 교실 밖의 실제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한 비교적 난이도가 쉬운 항목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실 내에서 교사가 학습자와 대화를 하는 상황에서도 교사가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교실 언어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이 더욱 실제적이고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친근한 분위기를 위해 '-이에요/에요'를 사용하고 있다.

초급 단계에서는 교재의 대화문을 익히는 것만으로 학습자는 실제 의...


#한국어교재 #한국어교재첫과를구성할때

원문링크 : 한국어 교재 첫 과를 구성할 때 '-입니다/-ㅂ/습니다'를 먼저 제시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이에요,예요/-아, 어요'로 제시하는 것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