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대학 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말하기 평가는 주로 성취도 평가로 학습자들의 성취도를 평가하여 진급 여부를 결정하고 학습자가 발생시키는 오류를 교사가 관찰하여 개개인에게 정확한 피드백을 줌으로써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사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말하기 평가에서는 문법과 어휘의 정확성, 상황에 적합한 언어의 사용, 원활한 기능 수행, 주제에 대한 이해 여부 등을 기준으로 삼아 평가가 진행된다.
말하기 평가는 다양한 환경에서 학습자 자신이 알고 있는 언어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평가이기 때문에 성취도평가에서는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 수준의 언어 능력을 선별하여 대표성을 가지면서 이를 모두 포괄할 수 있는 학습 기능과 목표를 선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해서 이를 평가한다. 타당성이란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이 목표에 맞게 제대로 측정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말하며 실제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성취도평가에서는 초급과 중급에서 ...
#평가방법을활용하는것이실용성
#평가신뢰성확보의요인
#한국어말하기평가
원문링크 :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어떠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 것이 실용성과 신뢰성, 타당성이 반영된 평가인지에 대해 논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