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수직 조직은 명령과 복종 관계가 수직적이며 계층적 구조를 형성해 직접적으로 결정하고 집행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최고관리자 하에 국장 또는 부장 그 아래에 과장, 그 아래 계정, 계원 순으로 피라미드 형태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수평조직은 수직 조직이 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촉진하는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로 수직 조직에 자문 또는 권고하며 구조조정 연구, 기획, 예산, 인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각 조직의 장단점으로는 수직 조직은 권한의 책임, 한계가 명확해 신속한 결정이 진행되고 강력한 통솔과 조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규모 복잡한 조직의 경우 업무가 아래 사람들에게 과중될 수 있으며 책임자가 단독 행동을 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각 부서 간 효과적인 조정이 불편하며 유능한 인재를 잃을 경우 조직이 마비될 수 있다.
수평조직의 경우 기관장 통솔 범위가 넓으며 전문지식,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
#명령과복종관계
#사회복지리더
#수직구조체계보다수평조직체계추구
원문링크 : 사회복지 리더로서 민주적이고 원활한 사회복지 조직을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조직운영을 하여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