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술격 조사 '~이다'의 경우에는 독특한 궤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우리가 생각해 볼 때 어떠한 부분에서 해당 사안을 조사로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먼저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다. 그리하여 파악해 볼 때 우리는 어떤 것을 조사라고 하는가?
한글맞춤법 1항과 2항을 먼저 생각해 보도록 하자. 1항의 경우에는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라고 하며 2항의 경우에는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고 파악한다. 이제 다시 바라보도록 하자.
'철수는 식사를 합니다'에서 동사 '하다'의 경우에는 띄어쓰기가 가능한 수준에 이른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 동사/형용사는 모두 띄어 쓸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 보면 앞에 '저 친구 이름은 철수다'. '이 물건은 휴대폰이다'라는 문장에서 앞에 오는 체언과 '~이다'를 분리할 수 있는지이ㅔ 대해서 먼저 생각해야 한다.
그러하다면 앞선 말인 체언과 분리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해당 품사는 적절...
#서술격조사
#품사분류
원문링크 : 서술격조사 '이다'의 품사 분류는 적절한가에 대해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