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교육과정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외국인 학습자와 교사 간의 조화로운 관계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시 말해서 집단의 요구를 보다 조화롭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계, 그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행할 수 있는 관계의 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집단 요구를 수용해 교수자가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에 중요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교수요목'이다. 교수요목은 다양한데, 그를 상황과 학습자의 요구에 걸맞게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과정 중심 교수요목은 과제 활동 중심으로서 하여 구성되어 있는 언어를 습득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교수요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학습자 활동이 그의 중점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과제 활동과 관련된 교수요목의 한 가지 형태로서 파악되기도 한다. 과정 중심 교수요목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언어 수업에서의 언어...
#과정중심교수요목
#교수요목
#한국어교육과정을성공으로이끌기위해서
원문링크 : 최근 교육과정의 설계 방향이 지나치게 학습자 중심적이며 통합 설계를 지향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입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