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의미 변화의 원인은 다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언어적 원인이다.
언어적 원인은 음운적, 형태적, 문법적 원인으로 인한 의미 변화이다. 한 단어가 다른 단어와 문맥적으로 자주 같이 사용됨에 따라 한쪽의 의미가 다른 쪽으로 옮겨간 것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부정적 표현과 함께 사용되는 '절대로'가 있다. 둘째, 역사적 원인이다.
역사적 원인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대상의 명칭의 변화는 수반하지 않은 채로 대상만 변화하면서 생기는 의미 변화이다. 예를 들면, '바가지'라는 표현은 어근 '박'과 접사 '-아지'로 이루어진 단어였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현대의 바가지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게 되어 '박'의 의미는 상실하였으나 명칭은 지속되고 있다. 셋째, 사회적 원인이다.
사회적 원인은 용어를 사용하는 집단이나 사회를 구성하는 요소가 변화함에 따라 어휘의 의미가 변화하는 것이다. 사회적 원인에 의한 의미의 일반화는 특수 집단의 말이 일반적 용법으로 변화할 때 의미가 확대되는 것...
#의미변화의원인
#한국어의미변화의원인
원문링크 : 의미 변화의 원인에 대하여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