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 강화는 대인관계 상황에서 형성된 이차적 강화 자극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포옹, 뽀뽀와 같은 신체적 접촉, 함께 있기, 같이 일하기와 같은 물리적 접근, 칭찬, 승인, 격려 등과 같은 언어적 진술을 사용할 수 있다. 교사는 아동이 친구들과 잘 어울려 놀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동의 놀이에 함께 놀이 상대로 참여하여 놀이를 함으로써 사회적 강화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아동이 친구들과 잘 어울려 놀이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언어적으로나 행동적으로 잘 사용했을 때 칭찬이나 격려하는 사회적 강화를 사용하여 해당 기술을 증진시키고 친구들과 잘 어울려 놀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차적 강화인 사탕, 과자, 아동이 좋아하는 놀잇감 등과 같은 물질적 강화는 처음에는 매우 강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시간이 지나며 시들해질 수 있다면 사회적 강화는 아동의 정서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기 때문에 아동의 행동을 강화하는 동시에 사회적 강화를 사용하는 대상과 애정적 관계를 맺어나갈 수도 있다...
#강화자극
#사회적강화
#친구들과어울려놀기를잘하는아동의행동
원문링크 : 교사가 친구들과 어울려 놀기를 잘하는 아동의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사회적 강화를 기술해 보고 사회적 강화의 효과에 대한 나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