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인은 자원봉사 의무화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이다. 청소년 사회봉사 활동 의무제가 실시된 것은 1995년 김영삼 정부 때부터이다.
이후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입시에 봉사활동 시간을 반영한다며 세부지침을 내놓았다. 봉사활동 의무제를 도입한 것은 청소년의 도덕성을 함양하고 인성교육을 시키기 위하여 도입됐지만,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기업 입사나 대학교 입시에서 점수를 부여하기에 스펙만을 위한 활동으로 변질되고 있다.
한국자원봉사협의회에서는 우리나라는 봉사할 수 있는 기관이 적은데 반해서 학생의 수가 많고 학생들도 시간을 채운다는 생각만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하기에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봉사활동을 하러 시설에 왔는데 일을 제대로 하지 않고 다른 곳에 가서 놀거나 쉬고 있으면 학생들을 관리하는 직원들의 노고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이러한 일이 잦다 보니 자원봉사 기관에서도 학생들을 봉사활동자로 받고 싶지 않아 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봉사활동의 특성에는 자발...
#자원봉사의무화
#자원봉사활동의특성
#학교에서연30시간정도의자원봉사
원문링크 :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에는 돈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특성이 있지만, 많은 학교에서 연 30시간 정도의 자원봉사 의무화하고 있다. 찬/반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