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이전부터 인구 절벽을 우려하여 출산 기피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2006년부터 대규모의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저출산율은 세계 최저치를 차지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자 문제의 화살은 아이를 낳지 않는 부부나 비혼 청년 집으로 향하게 됐다.
자식을 두지 않는 무자녀 가정은 여러 가지 요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지만 개인들의 이기심으로 치부되었다. 의도적으로 자녀를 두지 않는 맞벌이 부부를 흔히 딩크족이라고 부른다.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자녀 출산 및 양육에 전념하는 전업주부가 감소된 이후로 등장하였다. 여성들의 사회 진출률은 증가했지만 출산과 육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여 딩크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인은 딩크족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이다. 여성들의 사회 진출률이 높아진 것은 이전부터 지속됐고 부동산, 교육비 등 물가가 높아지며 남성 혼자 벌어서는 부부뿐만 아니라 자녀까지 양육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그러다 보니 여성들은 사회 진출에 더욱더 신경 쓰게...
#결혼은하되자식을두지않는무자녀가정
#신혼부부들의맞벌이증가
#신혼부부출산기피
#심각한저출산
#전통적가족구조붕괴현상
원문링크 : 최근 신혼부부들의 맞벌이 증가와 출산 기피는 심각한 저출산과 가족구조 붕괴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혼은 하되 자식은 두지 않는 가정에 찬/반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