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활동의 특성에는 돈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무보수성과 자발성의 특성이 있지만, 연 30시간 정도의 의무화하고 있다. 찬/반 토론하시오.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에는 돈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무보수성과 자발성의 특성이 있지만, 연 30시간 정도의 의무화하고 있다. 찬/반 토론하시오.

실제로 중고등학생을 보면 자원봉사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인의 개인적인 의사는 이에 대해서 찬성한다.

그러한 이유에 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배경을 만드는 것이라고 본다.

사실 자원봉사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이 거의 대부분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의무적으로 아이들에게 자원봉사에 참여하게 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부담을 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자원봉사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본다.

둘째, 자원봉사에 대하여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주변에게 말을 듣는 것과 반대로 자신이 직접 그것에 참여하는 것이 다르다.

이는 중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역시 동일할 것이다. 주변의 사람들은 단순히 자원봉사라고 하는 것이 힘든 시간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것에 참여하면 힘든 것보다 오히려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아이들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


#자원봉사 #자원봉사활동의특성 #학교에서30시간정도의자원봉사의무화

원문링크 :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에는 돈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무보수성과 자발성의 특성이 있지만, 연 30시간 정도의 의무화하고 있다. 찬/반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