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학교문법에서는 10 모음체계를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언어 현실은 8 모음 체계라는 견해가 있다. 더 나아가 7 모음 체계가 있는데 합리적 견해를 논하라.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10 모음체계를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언어 현실은 8 모음 체계라는 견해가 있다. 더 나아가 7 모음 체계가 있는데 합리적 견해를 논하라.

현행 국어에서의 단모음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은 '이,에, 애, 위, 외, 으, 어, 아, 우, 오'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에 들어와서는 위와 외의 이중모음처럼 발음되는 현상이나 에, 애의 발음 구분이 힘든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7 모음 체계로 바꾼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좋지 않은 자세라고 생각한다. 이유라고 한다면 가장 먼저 말할 수 있는 것은 체계를 바꾼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데다가 현실 발음과 동떨어져 있다고 구분하고 체계를 바꾼다면 어떠한 단점이 생기게 될까?

우리의 이중모음에 대한 체계의 경우에는 입술 모양이 바뀌면서 발음되는 경우를 이중모음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하게 발음상의 변화만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형태의 변화는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이중모음은 'ㅣ'계 상향 이중모음으로 '의'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결합형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발음상의 문제만을 가지고 있다고 이러한 체계성을 무시하고 이중모음으로 분류하거나 다...


#10모음체계 #7모음체계 #언어현실은8모음체계 #한국어의단모음체계

원문링크 :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10 모음체계를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언어 현실은 8 모음 체계라는 견해가 있다. 더 나아가 7 모음 체계가 있는데 합리적 견해를 논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