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터와 로울러의 동기부여 이론에 의하면 직원들의 근무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급여수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보상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기에 단순하게 감정에 호소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한계가 있고 경제적인 보상책을 제시해 직원들이 근무에 집중하고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이어야 한다.
동기부여 이론은 보상이나 성과 등 한 가지 요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절한 동기부여는 보다 나은 성과를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했고 조직 문화를 창달하는 데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하였다. 본인은 과거 주 5일, 9~6시까지 기본급을 받으며 일했다.
다른 사람들이 보았을 때는 사무실에 앉아서 지극히 평범하게 근무하는 것이라며 부러워했으나 회식, 상사의 업무 미루기 등 회상 내의 분위기로 인해 기본급을 받으면서 일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이직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이직을 하게 되었다.
회사 전체적으로 업무가 많...
#직장근무만족도
#직장에서의급여수준
#포터와로울러의동기부여
원문링크 : 직장에서의 급여수준과 근무 만족도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