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질문과 폐쇄형 질문에 대해 학습자님의 생각에 대해 토론하시오.


개방형질문과 폐쇄형 질문에 대해 학습자님의 생각에 대해 토론하시오.

한양대학교의 김창경 교수는 EBS의 "미래 강연 Q",에서 21세기는 위대한 질문을 만드는 사람이 이끌어갈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처럼 최근 교수 방법에서 질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생각한다.

개방형 질문은 응답자가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도록 특정한 답변을 유도하지 않는 질문 유형으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은 응답자 마음대로 그 대답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으며, 응답자에게 대답의 주도권이 있다. 폐쇄형 질문은 응답자에게 질문자가 제시한 목록을 제공하고, 응답자가 그 목록 중에서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는 질문의 유형이다.

폐쇄형 질문은 가능한 답의 목록을 질문자가 제시하고, 답을 그 안에서 정하도록 한다. 질문자에게 대답의 주도권이 있다.

본인은 교사로서 긍정적 상호작용이 잘 되기 위해서는 폐쇄형 질문보다는 개방형 질문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면담 초기에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은 개방형 질문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클라이언트들에게 불안...


#개방형질문 #미래강연Q #폐쇄형질문

원문링크 : 개방형질문과 폐쇄형 질문에 대해 학습자님의 생각에 대해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