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사용이 어려운 아동의 생활 경험에서 느낀 것, 생각한 것, 경험한 것을 타인과 의사소통하기 위해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


언어 사용이 어려운 아동의 생활 경험에서 느낀 것, 생각한 것, 경험한 것을 타인과 의사소통하기 위해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

언어 사용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아동에게는 평소 역할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역할 놀이의 수행은 역할 기대에 의하여 놀이를 구성하고 또 역할을 조정하며 역할극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한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되고 의사소통을 하는 능력이 증가된다. 그런 점에서 유의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역할놀이를 수행하기 위한 지원 전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교사는 각 지원 전략을 아동이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관련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첫째, 따라 말하기이다. 둘째, 마임 하기이다.

셋째, 보고 말하기이다. 넷째, 역할 나누기이다.

다섯째, 듣고 익히기이다. 여섯째, 제자리에서 대화하기이다.

일곱째, 일어서서 대화하기이다. 여덟째, 치장하고 무대에서 역할 놀이하기이다.

아홉째, 부모 초대해서 공연하기이다. 이러한 역할 놀이는 언어지도 방법의 중심이 되는 원리, 즉 개별화 및 다양화의 원리, 변화의 원리...


#언어사용이어려운아동 #언어사용이어려운아동과의사소통지도방법 #언어사용이어려움을느끼는아동에게역할놀이지도

원문링크 : 언어 사용이 어려운 아동의 생활 경험에서 느낀 것, 생각한 것, 경험한 것을 타인과 의사소통하기 위해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