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화기록법을 활용한 관찰은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객관적인 관찰을 하기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일화기록법을 활용한 관찰은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객관적인 관찰을 하기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일화 기록이라는 것은 자연관찰에서 적용하는 비형식적 관찰법의 한 가지 유형이다. 즉, 관찰대상(유아)에 관한 직접적인 관찰을 진행한 뒤 기록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화 기록은 세부적으로는 원 자료의 보존에 대한 정도가 높기 때문에 개방적인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관찰자가 생각하기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건 및 특이 행동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매우 선택적으로 원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행동이나 또는 사건을 설명할 때, 자신이 보고 들은 것 안에 관찰자의 해석 또한 포함되므로 추론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일화기록법은 관찰자로 하여금 특정한 행동을 장면과 상황, 다시 말해서 맥락 안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그렇기 때문에 관찰자가 유아의 행동에 관한 이해를 충실하게 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료수집에 노력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고, 표본 장면에 대한 대표성 관련 문제, 대상행동 선정 시 관찰자의 편향성이 다소 개입될 ...


#일화기록법 #일화기록법을활용한관찰은객관적이고사실적

원문링크 : 일화기록법을 활용한 관찰은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객관적인 관찰을 하기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