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해설교,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그리고 설교의 기술에 대한 대화 (4)


강해설교,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그리고 설교의 기술에 대한 대화 (4)

다시 미시와 거시 논쟁이냐 토론이냐 이번에는 닭의 AS이다. 토론보다 논쟁을 즐기는 경우 상대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는 찾아주지 않는다.

그런데 여기서 닭은 그렇지 않다. 닭의 경우 우리의 대화는 진리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하지, 상대방을 이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을 착각하는 사람과의 대화는 유익하지 않다. 공시적 해석과 통시적 해석 닭이 말하는 거시적 해석과 미시적 해석 프레임에 대한 근거는 공시적 해석과 통시적 해석이다.

본래 공시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이라는 말은 역사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인데, '공시적 관점'은 한 시대의 상황만을 고려하는 관점이고, '통시적 관점'이란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때 통시적 관점이 거시적 관점이 되고, 공시적 관점이 미시적 관점이 된다.

예를 들어서, 어거스틴의 책을 들어보자면.. 어거스틴의 초기 저작들만 가지고 어거스틴을 판단하는 경우 학적으로 문제가 많다.

어거스틴의 책 한 권만 가지고 "어거스틴은 이렇게...


#강해설교 #공시적관점 #공시적해석 #통시적관점 #통시적해석

원문링크 : 강해설교,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그리고 설교의 기술에 대한 대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