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말정산 원포인트 (ft. 결혼세액공제) : 신혼부부, 혼인신고, 맞벌이부부, 주택담보대출이자, 월세, 출산지원금, 육아휴직급여, 장기주택저당차입금


2025년 연말정산 원포인트 (ft. 결혼세액공제) : 신혼부부, 혼인신고, 맞벌이부부, 주택담보대출이자, 월세, 출산지원금, 육아휴직급여,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미지: pixabay, 서울시 2026년까지 혼인신고하면 부부합산 100만원 세액공제 받는다 2026년까지 혼인신고한 부부는 최대 1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도록 결혼세액공제가 신설된다. 국세청은 1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국세청이 짚어드리는 신혼부부 맞춤형 연말정산 원포인트 안내'를 한다고 밝혔다.

안내에 따르면 2024년부터 내년까지 혼인신고를 하는 부부는 배우자와 각각 50만원씩 총 1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는다. 배우자가 간소화자료 제공에 동의하면 배우자의 보험료·의료비·기부금 등을 확인하고 연말정산 때 활용할 수 있다.

배우자는 주소지가 달라도 같은 세대로 묶여 본인과 배우자 모두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만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월세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번 연말정산부터 부양가족 공제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배우자의 2024년 상반기 소득금액이 100만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원)을 초과하면 간소화자료 제공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소득...


#2025연말정산기간 #연말정산소득공제 #연말정산월세세액공제 #연말정산하는법 #연말정산환급금 #월세액세액공제 #육아휴직급여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주택공동명의 #주택담보대출이자상환액 #주택임차차입금상환액 #주택청약저축소득공제 #출산세액공제 #출산지원금비과세 #연말정산미리보기 #연말정산모의계산 #간소화서비스시작 #간소화자료 #결혼세액공제대상여부 #결혼세액공제신설 #결혼세액공제신청방법 #결혼세액공제재혼 #결혼세액공제제출서류 #결혼세액공제증빙서류 #국세청간소화서비스오픈 #맞벌이부부신용카드소득공제 #부양가족공제오류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연말정산계산기 #혼인신고부부

원문링크 : 2025년 연말정산 원포인트 (ft. 결혼세액공제) : 신혼부부, 혼인신고, 맞벌이부부, 주택담보대출이자, 월세, 출산지원금, 육아휴직급여, 장기주택저당차입금

 등록된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