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기사를 보면 부동산 얘기에 DSR, DTI, LTV 세가지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왠지 어려워보이는 부동산 용어...
오늘은 DSR뜻과 DTI와의 차이점 그리고 LTV뜻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께요~! 알고보면 쉬운 경제용어, 함께 공부해보아요!!
한국에는 '부동산 신화'가 있다고 할만큼, 자산가치에서 부동산의 규모가 절대적으로 큰편입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국민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부동산 규제를 할 수 밖에 없는데요.
이 부동산 규제에서 제일 중요한 핵심은 국민들이 주택을 구입할때 대출을 얼마만큼을 해줄 것인가...에 대한 기준을 통제하는 것입니다. 그 대출 규모에 대한 통제 기준들이 바로 DSR, DTI, LTV이고요.
먼저 DSR뜻부터 알아보면, Debt Service Ratio로 연소득 대비 총부채 원리금상환 비율의 의미입니다. DSR뜻은 DTI(Dept to Income 총부채 상환 비율)와의 차이점과 함께 살펴보면 이해가 더 쉬울 수 있는데요.
DSR뜻과 DTI...
#DSR
#DSR과DTI차이점
#DSR뜻
#DTI
#LTV
#물욕폭발무소유
원문링크 : DSR뜻과 DTI와의 차이점 LTV뜻까지 함께 알아볼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