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걸리다? 변동성 완화장치를 통해 적절한 매매타이밍 찾기, 가능할까?


VI걸리다? 변동성 완화장치를 통해 적절한 매매타이밍 찾기, 가능할까?

주식시장에서 'VI걸리다'는 표현이 있더라고요. 다른말로 변동성 완화장치라고 하는데, 이때는 해당 주식을 정리해주는게 좋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오늘은 변동성 완화장치가 무엇인지, VI와 주식 매도 타이밍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olatility Interruption의 약자로, 어떤 이슈가 있을 때 한 종목이 10%이상 오르면 해당 종목의 거래가 멈추게 되는데, 이런 상태를 VI걸렸다고 표현합니다. 즉 시장에서 가치의 변동성이 커질 때 이를 완화시키려 일시적으로 거래를 정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종류는 동적, 정적인 두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동적VI는 호가에 잔량이 없어서 급격한 주가 변동성이 있는 경우에 발동하는 완화장치입니다.

아래 파란색 칸에 들어있는 306,000원, 305,500... 으로 500씩 줄어드는 숫자들이 매도호가입니다.

POSCO홀딩스의 경우 호가 단위는 500원인데, 아래 이미지에서 매도 호가가 위로 올라갈 수록...



원문링크 : VI걸리다? 변동성 완화장치를 통해 적절한 매매타이밍 찾기,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