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대상 특성별 논문 설문지 응답 척도 구성: 3점, 5점, 7점 활용법


연구 대상 특성별 논문 설문지 응답 척도 구성: 3점, 5점, 7점 활용법

논문 작성법 3점, 5점, 7점 척도는 연구 대상에 따라 설정 논문을 작성하다 보면 고민이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특히 설문지를 구성함에 있어 선행 연구자는 7점으로 구성했는데, 자신도 7점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이러한 고민을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선행연구자가 몇 점을 사용했는가와 상관없이 현재 자신의 논문 설문에 응답하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연구자가 직접 설정하시면 됩니다. 01. 세분화된 점수 기준은 보다 정확하고 섬세한 응답 가능 3점보다는 7점이 보다 정확하고 섬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울을 생각하시면 좋은데 단위가 10mg 짜리 저울보다 0.01mg 짜리가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처럼 점수의 구간이 많을 수록 작은 차이를 구별할 수 있어서 결과에 대한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해집니다.

calum_mac, 출처 Unsplash 따라서 척도 개발자가 3점을 사용했다고 해서 반드시 3점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


#5점척도 #학위논문작성길라잡이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척도 #설문지구성 #리커트척도 #논문컨설팅 #논문척도 #논문작성법 #7점척도 #학위논문작성법

원문링크 : 연구 대상 특성별 논문 설문지 응답 척도 구성: 3점, 5점, 7점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