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에 석유 소비가 감소하면서 국내 정유사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1분기 들어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영업이익은 반토막이 났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 시행령 개정에 나서면서, 정유사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연간 영업이익률이 1% 수준에 불과한 상황에서 지역별 납품 단가가 까지 공개되면 그 여파는 정유사를 넘어 주유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에 아시아타임즈는 석유 시행령 개정안이 정유 시장에 어떤한 영향을 미칠지 살펴본다. <편집자 주> 정부가 10여년 만에 휘발유 도매가격 공개를 다시 추진하자 횡재세로 곤혹을 치렀던 정유업계가 악재를 만났다.
지난 2009년에는 영업 비밀 침해라는 이유로 도입이 무산됐지만, 이번에는 물가 안정이라는 정부 의지가 강하다는 점에서 그 후폭풍이 어디까지 미칠지 업계의 반응이 예사롭지 않다.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사진...
원문링크 : ‘휘발유 도매가 공개’ 후폭풍…주유소 줄도산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