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월 16일에 열린 '2025 가상자산콘퍼런스'에서 한국은행 디지털화폐기획팀장이 디지털화폐(CBDC) 활용성 테스트를 통해 미래 통화 인프라를 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출처 : 조선비즈 현재도 대부분의 거래는 현금이 아닌 디지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새삼 디지털화폐가 필요한 것인지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요.
기존의 신용카드 거래나 간편결제 거래 등과 한국은행에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화폐의 차이는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CBDC,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CBDC는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자로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법정 전자화폐를 말합니다.
CBDC는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처럼 투기 자산이 될 가능성이 없고, 국가의 감독 아래에서 공신력 있게 안정적인 거래가 가능합니다. 국가에서 만들고, 국가에서 공인한 자산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종이 지폐와 동일한 가치를 지니는 안전 자산이라고 할 수 ...
원문링크 : 디지털화폐(CBDC)의 개념, 장점과 단점 (2025년 한국은행의 상용화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