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거래를 하시다가 갑자기 호가들이 주르륵 사라지면서 주식 거래가 정지된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겪어보셨을 겁니다. 엇 왜 거래정지지??
혹시 엄청난 악재가 발생한 건가!! 라고 놀라셨을 텐데요, 이 경우는 대부분 VI라고 부르는 주가변동성완화장치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장중 중요공시가 나와서 30분간 거래가 정지될 수도 있는데 자주 있는 일은 아닙니다.) 이런 경우입니다.
갑자기 거래가 멈춤!! (참고로 같은 날 두번 멈췄습니다.)
그럼 VI라고 부르는 주가변동성완화장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VI는 Volatility Interruption의 약어로, 개별종목에 대한 체결 가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동됩니다.
개별종목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막는 안전 장치로 보시면 되는데, VI가 발동되면 2분동안 일반매매가 정지되면서 단일가매매로만 진행되게 됩니다. 2분동안 단일가매매로 진행된다는 것은, 2분 동안 모든 매수 매도 주문을 다 모아놨다가 2분 후에 일시에 하나의 가격으...
#vi
#vi가격
#vi기준
#vi발동
#변동성완화장치
원문링크 : 주식 VI 발동 시간 및 기준 쉽게 설명 (주가변동성완화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