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의 흔적을 지우는 사람, 유품정리사 김새별 대표를 만나다


고독사의 흔적을 지우는 사람, 유품정리사 김새별 대표를 만나다

떠난 이들의 흔적을 지우며, 삶의 의미를 되새기다 고독사와 유품 정리, 남겨진 사람들의 숙제 현대 사회에서 고독사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누구에게도 발견되지 않은 채 홀로 생을 마감하는 이들의 마지막 흔적을 정리하는 유품정리사는 단순한 청소업이 아닌, 사회적 의미를 되새기는 역할을 한다.

지난달 26일 청주에서 만난 유품정리사 김새별 대표는 유튜브 건강버스TV를 통해 유품 정리가 단순한 정리를 넘어, 떠난 이들의 삶을 되짚고 유가족의 아픔을 함께 나누는 과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고독사의 증가 원인과 사회적 대응 방안을 강조하며, 마지막을 맞이하는 삶의 방식에 대해 깊은 고민을 던졌다.

고독사 현장에서 깨달은 것들 김새별 대표는는 원래 12년 동안 장례지도사로 일했다. 그러나 어느 날 한 유가족이 장례를 마친 후 다시 찾아와 유품 정리를 부탁했다.

“퇴근 후 집에 돌아온 딸이 아버지를 발견했는데, 돌아가시는 과정에서 많은 출혈이 있었어요. 그 광경을 보고 충격을 받아 정리할 엄...



원문링크 : 고독사의 흔적을 지우는 사람, 유품정리사 김새별 대표를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