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청구했더니 의료자문이라니”…자문율 적다지만 부지급 여전


“보험금 청구했더니 의료자문이라니”…자문율 적다지만 부지급 여전

협심증 판정을 받은 A씨는 보험사에 허혈성심장질환진단비 보험금을 청구한 뒤 ‘의료자문에 동의해달라’는 연락을 받았다. A씨는 동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동의를 했지만 보험금 지급이 거절됐다.

이에 손해사정사를 통해 보험금을 받기 위해 상담을 알아보고 있다.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음.

[사진 출처 = 픽사베이] 의료자문을 거친 뒤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는 경우가 이어지고 있다. 의료자문이 보험금 청구권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순기능을 할 수 있게 독립적인 자문 인력풀 확보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손해보험사의 의료자문을 한 보험금청구건 3만1819건 중 2889건(9%)은 보험금이 부지급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인 2만7914건 중 2163건(7%)보다 소폭 늘었다. 올해 상반기 생명보험사의 의료자문을 통한 보험금 부지급은 7648건 중 2006건(26%)이다.

한 손보사의 경우 의료자문을 한 뒤 보험금 부지급률은 90%에 이르기도 했다....



원문링크 : “보험금 청구했더니 의료자문이라니”…자문율 적다지만 부지급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