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은 ‘아동학대’ 복지부는 ‘일반사망’…왜?


법원은 ‘아동학대’ 복지부는 ‘일반사망’…왜?

김선민 의원, 조사범위 축소 유명무실 복지부 아동학대시스템 개선 촉구 정부의 국가아동학대시스템의 전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발생한 아동학대 사망사건 177건 중 만 0세 피해 아동이 64명(36.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만 1세~3세 39명 만 4세~6세 25명 만 7세~9세 21명 만 10세~12세 11명 만 13세~15세 12명 만 16세~18세 5명 등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정부 통계에 잡히지 않은 다수의 아동학대 사건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사진=픽셀 대표적으로 지난 2020년 인천에서 이른바 ‘라면형제 방임 및 화재 사망사건’이 발생했다. 김선민 의원실이 복지부에 확인한 결과, 해당 사건은 국가아동학대시스템에 ‘일반 사망’으로 입력돼 아동학대 사망 명단에서 제외됐다.

그렇지만 사망 아동의 친모는 아동복지법 위반(유기 및 방임) 혐의로 기소돼 법원으로부터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



원문링크 : 법원은 ‘아동학대’ 복지부는 ‘일반사망’…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