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자리 안 보이는 납골당 - 고인을 모시는 장사 방식으로 화장이 일반화된 가운데 고령화로 인해 사망자 수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전국의 납골당은 포화 상태다. 지난 29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시연화장의 야외 벽면에 설치된 봉안 시설이 거의 빈자리 없이 가득 차 있다.
/고운호 기자 전국에 있는 봉안 시설 대부분이 90% 가까운 포화 상태에 이른 데다 그곳에 있는 유골마저 15~45년으로 제한돼 있는 봉안 기간이 끝나가면서 대규모 유골 이장 문제가 대두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전통적 매장 문화를 따랐으나 1990년대 중반 ‘전 국토의 묘지화’ 우려가 사회적 공감대를 이루면서 봉안 시설을 갖춘 추모 공원이 급속하게 늘어났다.
그러나 이곳에 안치했던 유골들이 대략 30년 안팎으로 책정돼 있던 기한이 최근 한꺼번에 닥치자 이른바 ‘조상님들의 대이사’가 불가피해진 것이다. 한국장례문화진흥원이 전자 정부 누리집에 올려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우리나라 장사 시설은 616곳으로 ...
원문링크 : 봉안 시설까지 포화, 장례 문화 완전히 바뀌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