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노인복지 ④-한국] 빠르게 늙어가지만 부족한 노인 인식 [세계의 노인복지 ④-한국] 빠르게 늙어가지만 부족한 노인 인식](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zEwMDJfMTk4/MDAxNjk2MjE2ODc3MjA0.0O1th-5pEQw8HHBKjtLBXJ9jzC_ME1jh7xkvrUkyZFUg.DEMgaY_K7rcWcxNcW_KUvOLKpz8J1-zjdnXxrHpTdRgg.JPEG.impear/%B3%EB%C0%CE%C0%CE%BD%C4.jpg?type=w2)
우리나라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참담하다. 전수영 고려대학교 빅데이터사이언스학 교수의 연구 논문 '소셜 빅데이터 기반 노인 인식 분석’(2020)이나 김영미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의 ‘대학생들의 노인인식과 태도변화에 대한 연구'(2020) 이외에도 여타 대다수의 국내 논문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에 해당하지 않는 우리나라 국민의 노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라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진=Huy Hung Trinh 우리나라는 노인빈곤율이 OECD 국가 중 1위라는 불명예 타이틀을 안고 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의 50% 이하 비율)은 38.9%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여러 통계를 종합하면 우리나라는 2026년 전후로 노인인구 비율이 20%를 초과해 국제연합(UN·유엔) 기준으로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전망이다.
그런데 국민 다섯 명 중 한 명이 노인이 될 나라에서 노인의 삶이나 복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없다. 앞서 우리는 ...
원문링크 : [세계의 노인복지 ④-한국] 빠르게 늙어가지만 부족한 노인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