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안전망의 또 다른 구멍…'탈가정 청년들'의 삶 : SBS


사회 안전망의 또 다른 구멍…'탈가정 청년들'의 삶 : SBS

<앵커> 가정 폭력이나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가족과 떨어져 사는 젊은이들을 '탈가정 청년'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청년들이 현재 2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공식 통계가 없어서 가정에서도 사회에서도 보호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족의 의미를 되짚어 보는 명절을 맞아서 저희가 이 내용 집중 취재했습니다. 김민준 기자 리포트 먼저 보시고 이야기 이어가겠습니다.

<기자> 연극배우를 꿈꾸는 희연 씨는 4년 전인 고등학교 2학년 때 스스로 살 길을 찾아야 했습니다. 교도소에 수감된 아버지와 부모님의 이혼.

어머니마저 심한 우울증을 앓으면서 남동생까지 돌보는 처지가 된 겁니다. [김희연 (가명)/탈가정 청년 : (택배) 상하차를 제가 5개월 정도 했었거든요.

김치찌개 알바 이런 데가 있어서 거기서 서빙 보는 것도 해가지고. 그때는 진짜 거의 잠을 하루에 2시간 잤었던 것 같아요.]

스물세 살 때 가족을 피해 도망치듯 집을 나왔던 예진 씨. [강예진 (가명)/탈가정 청년 : 남동생이 일단 저를 성추행...


#청년복지 #탈가정청년

원문링크 : 사회 안전망의 또 다른 구멍…'탈가정 청년들'의 삶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