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3603명, 3년 전보다 47%↑..올해 상반기에만 2314명 8월부터 지자체서 안부확인 등 사업..기존 복지와 차별성 ‘글쎄’ 김원이 의원 “연령·지역별 특성 맞는 차별화된 프로그램 시급” <사진=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취약계층의 사회적 고립이 여전한 가운데 혼자 죽음을 맞는 고독사 인구가 지난해에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올해부터 고독사 예방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고독사 인구는 최근 5년간 매년 늘어난 것으로 확인돼 연령이나 지역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혼자 죽음을 맞는 무연고 사망, 즉 고독사로 추정되는 인원은 지난 2018년 2447명에서 지난해에는 3603명으로 3년 전보다 47%나 증가했다.
연도별로는 2018년 2447명, 2019년 2656명, 2020년 3136명, 2021년...
#곰바이보험하늘
#노인복지
#독거노인고독사
#복지사각
원문링크 : 복지 사각지대 고독사 매년 증가..예방사업 실효성 의문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