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보험은 실손의료보험과 함께 손해보험사의 대표적인 적자상품으로 꼽힌다. 특유의 높은 손해율 때문이다.
그럼에도 디지털 손해보험사들은 하나같이 주력 상품으로 자동차보험을 내세우고 있다. 유의미한 고객과 매출 규모를 확보할 수 있는 비대면 보험상품이 사실상 자동차보험뿐이기 때문이다. 1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차량 수 기준 개인용 자동차보험의 인터넷·온라인(CM채널)을 통한 가입 비중은 40.7%로 설계사의 직접 영업을 통한 대면채널 가입비중(39.9%)보다 0.8%포인트 높았다.
CM채널과 함께 다이렉트 채널을 구성하는 TM(텔레마케팅)채널 가입 비중은 19.4%였다. 젊은층의 CM채널 선호 경향이 커지면서다. 20대 57.4%, 30대 61.8%, 40대 48.2%가 CM채널을 통해 자동차보험에 가입했다.
중장년층인 50대 29.7%, 60대 26.9%, 70대 이상 22.6% 등의 비중도 적지 않다. 그러나 지난해 개인용 자동차보험 수입보험료 비중은 대면채널이 46.1%로...
#곰바이보험
#퍼마일자동차보험
원문링크 : 디지털 보험사, 손해 뻔한 '자동차보험' 뛰어드는 이유 뭘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