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없는 북한, 장례문화는 어떤 모습일까?…南과 달리 매장 선호 - 장의사 없고, 소리내 곡(哭)도 못해


제사없는 북한, 장례문화는 어떤 모습일까?…南과 달리 매장 선호 - 장의사 없고, 소리내 곡(哭)도 못해

최근 남측 예술단이 평양을 방문해 공연하는 등 남북의 문화 교류가 탄력을 받고 있다. 남측 예술단의 공연을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관람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남북 관계에 바야흐로 훈풍이 불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가을에 서울에서 공연하자”고 제안할만큼 공연에 만족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과의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북의 장례문화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과 북은 분단체제로 지내온지 55년째로, 반세기가 넘었으며 정치체제마저 달라 장례문화에서도 상당히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단 북한에서는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제사 자체를 귀신을 섬기는 미신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곡(哭)소리도 내서는 안 된다.

북한의 사회주의는 가족주의를 용인하지 않는다. 북한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상주(喪主)의 직장에 부고를 알리고 거주지 인민반을 통해 이웃들에게도 알린다.이때 동사무소에서는 장례보조금과 약간의 식량과 술을 지급한다.

시나 군 상업관리소에 사망진단서를 제시하면 장의 비품과 식량을 구입...



원문링크 : 제사없는 북한, 장례문화는 어떤 모습일까?…南과 달리 매장 선호 - 장의사 없고, 소리내 곡(哭)도 못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