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지를 담보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농지연금이 고령농가의 노후보장 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해 농지연금 신규가입 건수가 전년 대비 17.2% 증가한 1848건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농지연금은 농식품부와 농어촌공사가 고령농가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2011년부터 정부지원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이 펴낸 ‘2018 농업전망’ 자료를 보면 농업인 중 50대는 농업 외에도 다양한 소득을 올리는 2종 겸업농가(농업수입보다 농업외수입이 많은 농가)의 비중이 높은 반면, 60대는 약 72%, 70대는 87%가 전업 또는 1종 겸업농가였다.
고령농가일수록 농업소득 외에 추가 소득을 올리는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그 결과 70세 이상 고령농가는 연평균 858만원 가량 소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지연금은 고령농가의 영농형태나 재정상황을 감안해 고령농업인이 농지를 매개로 매월 일정 수준의 연금을 수령하면서도, 대상농지를 통해...
원문링크 : 농지연금 가입자 17%↑… 농촌 고령화 시대 주목받는 농지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