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역사_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고 이용하는 외부 세력, 외세의 개입


식민지 역사_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고 이용하는 외부 세력, 외세의 개입

고종은 동학농민운동이 발생하자 청국에게 군대 파병을 요청한다. 청국은 “조선에 중대한 사건이 발생해 중·일 양국 또는 어느 한 국가가 파병할 때 사전에 통보”한다는 톈진조약에 의거해 일본에 파병을 통보했고 청국과 일본의 군대가 조선에 들어오게 되었다.

이때 파견된 일본군은 8,000명에 달했는데 일본은 조선에 들어올 때부터 청국과의 전쟁을 고려하는 등 조선을 식민지화 하려는 야욕을 숨기지 않았다. 일본군은 경복궁을 점령했으며 청국군 1,100명을 수송하던 선박을 공격했다.

청일전쟁의 시작이었다. 화보로 보는 『러일전쟁』 -1, 한길사 네이버 포스트 1904년 2월 17일자 『브룩클린 이글』(Brooklyn Eagle)에 실린 「너무나도 헌신적인」 그림에서 짓밟히고 있는 인물, 즉 조선은 “나는 이로써 귀하가 조선 영내를 종단하는 것을 허가한다”라고 쓴 종이를 들고 있다.

그 아래로 흐르는 강에는 ‘압록강’이라고 쓰여 있고 발끝에는 ‘만주 방면’이라는 이정표가 보인다. 사진, 글 출처...


#갈등조장 #외세개입 #우리나라와일본이사이가좋지않아도외계인이쳐들어오면힘을합해야하지않겠나 #을사늑약 #자유 #제국주의 #주권 #준비 #지구원주민 #청일전쟁 #큰공동체 #외계인 #역사의교훈 #역사 #구한말 #내정간섭 #노회찬 #동학농민운동 #러일전쟁 #분열 #붕괴 #숨은의도 #식민지 #신의새메시지 #풍자화

원문링크 : 식민지 역사_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고 이용하는 외부 세력, 외세의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