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3] 직장인의 덫, 소득 크레바스 대비하기 [733] 직장인의 덫, 소득 크레바스 대비하기](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zAzMjdfMTQ4/MDAxNjc5ODk3MzMzNzI4.DWKhU_WlyXrlHxIu2J0KSYAlMId5gngj6R5Wq1_P46Ig.ofzX6HrW3JxI3jEn3odKSSB-US3L_29JoNITkBfpa3kg.PNG.giantstep2020/%C5%A9%B7%B9%B9%D9%BD%BA_3.png?type=w2)
직장인의 덫, 아니 인생의 덫인 소득 크레바스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소득 크레바스란 직장 은퇴 후 국민연금을 수령하기까지의 간극을 이야기해요.
하나금융그룹에서 조사한 데이터에 의하면 38%가 50~54세에 퇴직을 해요. 40~44세에 퇴직을 하는 사람도 11%나 되고요. 우리나라 직장인이 평균 12년의 소득 크레바스를 겪는다고 합니다.
정답은 아닐 수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대비책은 세가지 - 1) 개인연금 2) 배당금 3) 별도 나만의 파이프라인 첫째는 개인연금 말도 많지만 밥상의 밥과 같은 존재가 개인연금이라고 봄. 개인연금은 20대에 2개, 30대에 2개, 40대에 2개를 4~5년 단위로 들어놓는 것이 필요하다 봐요.
(예를들면 25세, 29세, 35세, 39세, 45세, 49세...) 10년 불입하고, 10년 거치하면 50대에 3개의 개인연금을 수령할 수 있어요. 30~50만원씩 불입한다고 하면 월 100~150만원 사이를 수령하게 됩니다. [714] 개인연금 어떻게 수령...
#개인연금
#재테크
#연금저축펀드
#소득파이프라인
#소득크레바스
#배당주
#맥쿼리인프라
#노후현금흐름
#노후준비
#경제적자유
#개인연금저축
#현금흐름
원문링크 : [733] 직장인의 덫, 소득 크레바스 대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