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 1월 1일 전 세계의 공휴일 양력 설의 역사


새해 첫날 1월 1일 전 세계의 공휴일 양력 설의 역사

대한민국 새해 첫날, 신정의 역사 1월을 '바른 달'이라고 불러요. 따라서 신정(新正)은 바른 달의 새로운 날. 1월 1일을 의미하죠.

바를 정이 아니라, 정월이라는 뜻으로 쓰인다고 생각하시면 한자만으로 이해가 쉬울 거예요. 한국은 일제강점기 이전인 조선 말기에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지금의 달력인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어요.

더 자세히는 1895년 을미년에 고종이 태양력(그레고리력)을 사용하라는 조칙을 내리면서 시작되었어요.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음력 설을 새해의 시작으로 지내왔기 때문에, 1월 1일을 양력 설로 인정하려고 하지 않고, 음력 설을 지내는 문화가 더 이어지게 되었어요.

그러다 일제강점기에 민족 문화를 말살하려는 일제 의도에 의해, 설날을 신정(新正)이라는 이름으로 강압적으로 장려되기 시작했죠. 일제는 문화를 없애기 위해 음력 설을 낮추는 의미로 구정(舊正)이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어요.

구정이라는 말 대신, 음력 설 또는 설날이라는 예쁜 우리말을 쓰는 게 더 좋을 것 같아요....


#1월1일평일인나라 #신정평일나라 #신정펴일 #신정연휴변천사 #신정연휴 #신정역사 #설날 #새해첫날평일인나라 #새해첫날연휴때 #새해첫날연휴 #새해첫날공휴일 #새해첫날 #양력설

원문링크 : 새해 첫날 1월 1일 전 세계의 공휴일 양력 설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