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경제 언박싱> 왜 1.5도에 주목하나?


<기후경제 언박싱> 왜 1.5도에 주목하나?

1990년대 이후 기후 연구가 쌓이면서 지구과학자의 절대 다수가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를 증명된 사실로 생각한다. 인간의 온실가스 배출로 지구 기온은 산업혁명 이후 1 이상(기준 연도 1850~1900년 평균) 높아졌다. 100여 년간 1 상승은 일찍이 지구가 겪어보지 못한 엄청나게 빠른 속도의 변화다.

이에 따라 대기와 해양, 육지에 여러 변화가 나타나면서 생태계와 인류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기후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자들은 왜 1.5를 한계로 잡았는지 짚어본다.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대기과학), 이우균 고려대 교수(임학), 이충일 국립강릉원주대 교수(수산해양학)에게 자문을 구했다. 우리 곁의 기후 변화 지난 3월 경상권에서 발생한 산불은 서울의 80%에 해당하는 면적을 태우고 30명의 사망자를 낸, 우리나라 역사상 최악의 산불이었다.

성묘객의 실화(失火)로 발생한 경북 의성 화재가 초대형 산불로 번진 원인의 하나는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이...



원문링크 : <기후경제 언박싱> 왜 1.5도에 주목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