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균관대-KIST 연구팀, 태양에너지와 물을 이용한 고효율 청정 수소 생산 기술 개발 왼쪽부터 성균관대 박재민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진형 석사, 성균관대 조새벽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해정 박사, 성균관대 양우석 교수. [대학저널 이선용 기자]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양우석 교수와 조새벽 교수 연구팀, 그리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손해정 박사 연구팀은 저비용 니켈 화합물 촉매를 활용하여 유기물 광흡수층 소재 기반 최고 효율의 태양광 수소 생산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기물 광흡수층은 유기 재료로 구성된 반도체층으로, 태양광을 흡수해 전자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저독성·고흡광·가공 용이성 등의 장점으로 차세대 수소 생산 광흡수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을 이용한 수소 생산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차세대 청정 에너지 기술로 각광받고 있지만, 상용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은 높은 제조 비용과 낮은 효율이다.
특히, 백금과 같은 고가의 귀금속 촉매와 무기 반...
원문링크 : 청정 수소 생산 기술, 가격과 성능 두 마리 토기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