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수소생산용 백금촉매 비용 10분의 1로 줄일 방법 찾았다


KAIST, 수소생산용 백금촉매 비용 10분의 1로 줄일 방법 찾았다

"수전해 셀 고가 촉매가 상용화 걸림돌"…귀금속 공정에도 활용 가능 국내 연구진이 수소 생산에 드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개선 가능한 촉매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 연구팀이 화학과 김형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고성능 고안정성 귀금속 단일 원자 촉매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수전해 셀은 물을 전기화학적으로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지만, 촉매로 고가의 백금을 사용한다. 새로운 수전해 셀 공정을 개발한 연구진.

이 연구는 KAIST 김성빈 연구교수와 UNIST 신재승 교수, KIST 김호영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등재됐다. 제1저자인 김성빈 연구교수는 "백금 사용량을 10분의1로 줄여 수전해 셀의 경제성을 높이는데 성공했다"며 "미국 에너지부(DOE)가 2026년 목표치로 제시한 수전해 셀 성능(3.0/) 및 귀금속 사용량(0.125mg/)을 유일하게 충족시켰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귀금속 촉매의 열화 메커니즘을 역이용(자가조립원조 귀금속 동적...


#그린수소 #백금촉매 #수소경제 #수소연료전지 #수전해 #탄소중립

원문링크 : KAIST, 수소생산용 백금촉매 비용 10분의 1로 줄일 방법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