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딥시크 AI 모델, 美 최고 모델보다 앞서거나 거의 동등"


"中 딥시크 AI 모델, 美 최고 모델보다 앞서거나 거의 동등"

대규모 언어 모델 V3·추론 모델 R1 성능 GPT·라마 등과 비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 실리콘 밸리에 큰 충격을 준 데에는 무엇보다도 딥시크의 AI 모델이 챗GPT 개발사 오픈AI 등의 모델을 일부 앞선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딥시크가 최근 선보인 AI 모델은 두 가지로, 딥시크는 지난해 12월 대규모 언어모델(LLM) V3를 공개했고 지난 20일에는 R1이라는 추론 모델을 선보였다.

딥시크는 기술보고서에 V3의 성능을 오픈AI의 가장 강력한 모델인 GPT-4o,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의 AI 모델인 라마 3.1, 앤스로픽의 AI 모델 클로드 3.5 소네트를 비교했다. V3는 22개 평가 테스트 가운데 13개 부문에서 다른 경쟁 모델보다 가장 뛰어났다고 딥시크는 설명했다.

선별된 500개의 수학 문제 테스트(MATH-500)에서 V...


#ai관련주 #나스닥 #뉴욕증시 #딥시크관련주 #딥시크주가 #미국주식 #엔비디아주가 #주식투자 #해외주식

원문링크 : "中 딥시크 AI 모델, 美 최고 모델보다 앞서거나 거의 동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