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LS증권은 코스피지수가 2300선도 깨지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이어졌던 ‘박스피’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9일 전망했다.
박스피는 특정 범위에 갇혀 코스피지수가 오르내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정다운 LS증권 연구원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등장으로 국내 주식시장에 수출 규제와 이에 따른 경기 우려가 불거졌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정국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마저 더해졌다. 주식시장의 바닥으로는 코스피시장 주가순자산비율(PBR·시가총액 ÷ 순자산) 0.805배 수준인 2300선이 꼽힌다.
정 연구원은 “과거 대부분은 PBR 0.8배 초반에서 코스피지수가 저점을 기록했다”며 “PBR 0.81배는 2019년 8월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등이 맞물렸을 때 나타났다”고 했다. 문제는 코스피지수가 2300선마저 이...
#국내증시
#반도체관련주
#분산투자
#삼성전자
#윤석열탄핵
#장기투자
#주식투자
#코스피
원문링크 : 코스피 2300선도 깨지면… LS증권 “10년 전 ‘박스피’ 시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