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석연료 대신 '이산화탄소'로 항공유 만든다 지속 가능한 항공유(SAF)의 요구 성분 (사진=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항공유(SAF) 생산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고부가가치 탄화수소인 이소파라핀을 생성해 탄소 중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안광진 교수팀과 LG화학 탄소중립연구 TFT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항공유 생산에 적합한 이소파라핀 생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철 기반 촉매와 함께 사용돼 기존 제올라이트 촉매를 대체하며 이소파라핀 생성 비율을 크게 높이는 데 성공했다.
특히 플래티넘 기반 텅스텐-지르코니아 촉매를 이용해 생산된 항공유는 기존 화석연료 기반 항공유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산화탄소를 직접 이소파라핀으로 전환함으로써 공정 효율성도 크게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이 촉매는 탄...
#ccus기술
#신재생에너지
#이산화탄소연료
#이소파라핀
#탄소중립
#탄소포집기술
원문링크 : UNIST-LG화학, 탄소 배출 80% 감축 항공유 생산 촉매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