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1조(목적) 이 영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08. 6. 20.]

제2조(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에 따라 법의 적용을 받는 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별표 1에 정하는 고압가스는 제외한다. 1.

상용(常用)의 온도에서 압력(게이지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것 또는 섭씨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아세틸렌가스는 제외한다) 2.

섭씨 1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파스칼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3.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것 또는 압력이 0.2메가파스칼이 되는 경우의 온도가 섭씨 35도 이하인 액화가스 4.

섭씨 35도의 온...


#가스기술기준위원회 #안전관리자종류 #안전성평가 #안전성향상계획 #용기검사생략 #용기제조등록 #위해방지조치 #정기검사면제 #종합적안전관리대상자 #특정고압가스 #안전관리자업무 #안전관리부담금 #과징금부과 #가스사고조사위원회 #고압가스배관매설상황 #고압가스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시행규칙 #고압가스안전관리법시행령 #고압가스제조신고대상 #고압가스종류 #고압가스품질 #한국가스안전공사

원문링크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