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제1절 안전보건관리체제 제9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법 제15조제1항제9호에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과 안전보건규칙에서 정하는 근로자의 위험 또는 건강장해의 방지에 관한 사항을 말한다. 제10조(도급사업의 안전관리자 등의 선임)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할 수급인인 사업주는 영 제16조제5항 및 제20조제3항에 따라 도급인인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에는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을 수 있다. 1.

도급인인 사업주 자신이 선임해야 할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둔 경우 2.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할 수급인인 사업주의 사업의 종류별로 상시근로자 수(건설공사의 경우에는 건설공사 금액을 말한다.

이하 같다)를 합계하여 그 상시근로자 수에 해당하는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추가로 선임한 경우 제11조(안전관리자 등의 선임 등 보고) 사업주는 ...


#근로자위원지명 #안전관리기관평가 #안전관리업무수행기준 #안전관리업무수행지역 #안전관리자선임보고 #안전관리자증원교체 #안전관리지정신청 #안전관업무위탁 #안전보건관리규정 #안전보건관리규정작성 #안전보건관리체제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도급사업안전리자선임 #둘이상관할지역 #보건곤리자시설장비지원 #보건관리기관평가 #보건관리업무수행기준 #보건관리업무수행지역 #보건관리지정신청 #산업보건의선임보고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산업안전보건법 #업종별보건관리전문기관

원문링크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