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의 중요성. (프론트 스태빌라이저 점검)


기본의 중요성. (프론트 스태빌라이저 점검)

차량의 대부분의 하체 부품을 다 교환한 상태이지만 고속에서 요철을 지나갈 때 충격이 크게 왔습니다. K8을 운전해 봐도 비슷한 느낌이 들기에 막연히 현대차의 하체 문제이거니 하고 넘어갔습니다.

이런 문제를 너무 신경 쓰면 정신건강에 좋지 않으니까요. 그런데 어느 날부터 갑자기 바퀴 한쪽만 내려가거나 올라가는 상태에서 충격이 느껴졌습니다.

(지하주차장 같은 경사로를 오르거나 내릴 때) 활대링크의 문제이거니, 차량의 한계이려니 하고 정신 수양을 하던 중 유튜브에서 스태빌라이저 부싱 교환 영상을 보다 불현듯 머리를 스쳐 지나간 생각이 들었습니다. "스태빌라이저 부싱이 덜 조여진 거 같은데?"

과거 스태빌라이저 부싱이 수명을 다해 교환한 적이 있습니다. 일이 너무 바쁘고 힘든 작업이라 정비소에 의뢰한 적이 있었는데 교환한 것만 생각하고 한 번도 확인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스태빌라이저를 점검하게 되었습니다. 체결 토크는 대략 60Nm 정도입니다.

운전석 스태빌라이저입니다. ...



원문링크 : 기본의 중요성. (프론트 스태빌라이저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