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향성과 가정환경에 대한 가설과 매력.


외향성과 가정환경에 대한 가설과 매력.

외향성과 내향성. 이 둘의 차이는 뭘까...

라는 생각에 내가 가장 합리적이라 생각한 정의는 정서 민감성이었다. 외향적, 내향적 이 둘의 차이는 뭘까 MBTI, BIG5 성격 유형을 판단하는데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학자들이 인정한 기준중 하나는 외향성과 ... blog.naver.com 부정적 정서에 민감한 경우 내향성을 띄고 긍정적 정서에 민감한 경우 외향성을 띈다.

뭐 그런 정의다. 지금 와서 보면 뭐 완벽한 정의라고 하기는 뭐하긴 하다.

정서 민감성은 해석하기에 따라 정서 안정성과 혼동될 수 도 있다. MBTI로 치면 16Personalities의 추가 지표인 -A -T, Big 5에서의 신경성 항목이 '정서 안정성'에 해당되는 요인이다.

아무튼 내가 지금부터 쓰려는 글은 아마 이전에 써서 글무더기 한켠에 처박혀 있을 수도 있겠는데, 생각난 김에 한번 다시 정리해서 써본다. 유년기 가정 환경에 따라서 내향 / 외향이 나뉘는 경향성에 관한 짧은 생각이다.

가족 중, 둘째는 대체로 ...


#가설 #내향성 #매력 #외향성

원문링크 : 외향성과 가정환경에 대한 가설과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