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대화이론 > 1. 기본 인식 1) 서구민주주의 이념과 제도를 후진국에 전파하면 후진국의 정치가 발전할 것이라는 주장 2) 모든 국가의 발전 경로와 단계가 동일하다는 단선 논리를 주장 2.
비판 1) 서구 중심주의적 시각으로 자문화 중심주의 2) 문화적으로 선진국이 반드시 후진국보다 발전되었다고 단정하는 것은 곤란함 3) 후진국들이 발전하지 못하는 것은 후진국 스스로의 책임만이 아니라 선진국들에게 종속되어있다는 부분을 간과함 < 리셋. 경제결정론 > 1.
자본주의 경제발전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주장 2. 경제발전 지표 부, 산업화, 도시화, 교육로 구분함 3.
비판 1) 경제발전 지표들은 양적인 측면만을 강조하여 질적인 측면을 간과함 2) 정치발전에 대한 자체적인 개념 정의보다는 민주주의 발전에 조건이 되는 경제발전 지표를 통해 정치발전을 정의함 3) 서구 중심적 시각 4. 정치체제의 정통성과 효율성 1) 정통성 한 사회에 정치체제가 그 사회에 가장 적합하다는 신념이 있고...
원문링크 : 근대화이론